본문 바로가기

브랜드

국가도 브랜드다 [주간동아] 12.31 ◀ 정경원 KAIST 교수 2008 베이징올림픽 폐막식에서 선보인 2012 런던올림픽 프레젠테이션이 화제다. 빨간색 2층 버스의 등장에서 시작된 다양한 퍼포먼스는 노(老)제국의 이미지로 남아 있던 영국을 젊고 역동적인 나라로 한순간에 탈바꿈시켰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디자인. 아무리 좋은 국가 브랜드를 만들었다 해도 세계인의 시각을 자극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대담에 참여한 디자인학 박사 정경원 KAIST 교수와 브랜드 전문가인 황부영 브랜다임앤파트너즈 대표는 “코리아 브랜딩의 성공전략은 디자인에 달렸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황부영 오늘날 우리에게 국가 브랜드가 중요해진 것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째, 대한민국 브랜드의 현실입니다. 우리가 실제.. 더보기
4주차 - 브랜드 개괄적인 정리 1. 용어정리 예전에는 브랜드를 상표로만 단순히 해석할 경우에도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다르다. 브랜드나 마케팅을 공부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상표보다는 브랜드가 무엇인가 더 많은 것을 담고 있다고느낀다. 이것은 단지 영어와 한글의 차이점은 아니다. 상표는 식별가능한 기능에 지나지 않지만 브랜드는 제품의 전략이나 이미지 등등을 모두 포함하는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브랜드 네임은 청음으로 표현되는 것을 말한다. 즉, 말로 표현되는 것을 말하며 글자나 단어 숫자로 표현된다. 브랜드 마크는 눈으로 볼 수 있는 로고, 디자인, 색깔이나 글자체등을 의미한다. 단순하게 말하면 제품에 이름, 상표,그림을 붙이는 것을 말하고, 회사 내부에서 브랜드 구조상 도입상 체계, 원칙등을 이야기도 한다. 또한 Brand Ide.. 더보기